[뉴스큐브] 신규확진 344명…개학·집단감염 등 변수 여전<br /><br /><br />국내 코로나19 '3차 대유행'이 지속하는 가운데 신규 확진자 수는 사흘째 300명대를 유지했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등교 수업이 시작되면서 방과 후 활동이나 각종 모임·행사가 자칫 감염 확산의 통로가 될 수 있다고 보고 방역 고삐 죄기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백순영 가톨릭대 의대 명예교수, 최진봉 성공회대 교수 어서 오세요.<br /><br />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어제 344명 발생했습니다. 그제보다 소폭 줄었지만, 어제까지 3·1절 사흘 연휴 동안 검사 건수가 줄어든 영향도 있을 텐데, 확산세가 꺾였다고 볼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제조업 사업장에서 새 집단감염이 잇달아 발생하고 있습니다. 최근 한 주 동안 발생한 새 집단감염 사례 18건 가운데 사업장 관련이 11건으로 전체의 61%를 차지했습니다. 이유가 뭔가요?<br /><br /> 전국 유치원과 초·중·고교가 일제히 개학해 등교가 시작됐습니다. 지난해와 달리 올해에는 개학 연기 없이 신학기가 시작됐지만, 코로나19 탓에 전교생 전면 등교는 아직 어려운데요. 등교 대상과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?<br /><br /> 연일 확진자가 300~400명씩 나오는 상황에서 등교수업 확대에 우려의 목소리도 높습니다. 돌봄 공백 해소와 학습 격차 줄이기 그리고 방역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으려면 어떤 부분이 가장 중요하다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방역당국에서 저학년의 매일 등교를 결정한 이유 중 감염 시 중증으로 갈 확률이 낮다는 점, 다시 말해 치명률 면에서 어르신에 비해 위험도가 낮다는 부분도 고려됐다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등교 수업을 재개하면서 재확산 위험이 고개를 들고 있습니다. 사정이 이렇다 보니 교사들의 예방접종 시기가 앞당겨질 수 있다는 전망도 있습니다. 실제 교육계에서 교사 우선 접종 요구 목소리가 큰데요. 그럴 필요성 있다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고3이 된 학생들의 경우 오늘부터 매일 등교를 시작했지만 사실 지난해의 학습 공백을 당장 메울 수 있을 것이냐도 문제고요. 또 학생 간 격차도 심화돼 사교육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는 점도 문제거든요? 학교 내에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은 뭐라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백신 얘기로 넘어가 보겠습니다. 백신 접종 나흘간 모두 2만3,086명이 백신을 맞았습니다. 국내 인구 대비 접종률은 0.04%인데요. 국민들도 백신에 대한 두려움보다 기대감이 높아졌다고요?<br /><br /> 백신 접종에서 국민들이 가장 우려하는 부분이 부작용인데요. 이상 반응 사례는 모두 156건 집계됐지만, 발열과 두통, 근육통 등의 경미한 증상이었는데요. 흔히 나타나는 증상으로 보면 되는 겁니까?<br /><br /> 당국은 지금까지 신고된 이상 반응은 대부분 사흘 이내 특별한 처치 없이도 회복되지만, 증상이 지속하거나 심해지면 즉시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설명했는데요. 어떤 경우를 중증 이상 반응으로 볼 수 있습니까?<br /><br /> 정부가 백신 1병당 접종 인원을 1∼2명 늘릴 수 있도록 한 것과 관련해선 다소 논란이 있는데요. 정은경 질병청장은 정해진 접종 인원을 지키는 게 원칙이라고 밝혔습니다. 잔여량이 생길 경우 활용해도 무방하다는 것이지 의무화하는 건 아니라는 뜻이죠?<br /><br /> 백신을 둘러싼 각종 허위정보가 온·오프라인에서 번지고 있습니다. 생체칩 삽입이나 치매 유발, 또 인체 유전정보 변형 등 허위정보가 다수인데요. 근거가 있는 얘기입니까? 국민 스스로 주의해야겠지만, 정부의 대응책 마련도 시급해 보이는데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